[Network] OSI 7계층

2juhyunju ㅣ 2022. 9. 3. 18:41

OSI 7계층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이 어떻게 서로 통신할 수 있는지 궁금한 적이 있다. OSI 7계층이 생성되기 전에는 많은 독점 네트워킹 프로토콜로 인해 문제였다고 한다. OSI 모델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표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SI 7계층이 생성된 이유와 사용된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여 각 계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알아보자

 

OSI 7계층은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OSI 모델 이전에는 다양한 독점 네트워킹 프로토콜이 있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이 어려웠다. OSI 모델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이 모델은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은 데이터 전송의 특정 측면을 담당한다.

 

1계층 - 물리 계층 ( Physical Layer )

  • 케이블이나 무선 연결과 같은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전송단위: 비트 ( 0 or 1)
  • 네트워크 장비: 리피터, 허브, 통신 케이블 등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Data Link Layer )

  •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 신뢰성 및 오류 검사를 추가하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나누고 전송 오류를 확인한다.
  • 전송단위: 프레임
  • 프로토콜: MAC(Media Access Control)
  •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브리지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Nework Layer )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주소 지정 및 데이터 라우팅을 담당한다.
  • 데이터에 논리 주소를 추가하여 여러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할 수 있다.
  • 전송단위: 패킷
  • 프로토콜: IP
  • 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4계층 - 전송 계층 ( Transport Layer )

  • 애플리케이션 간의 종단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
  • 데이터가 안정적이고 올바른 순서로 전달되도록 한다.
  • 전송단위:
    • TCP: 세그먼트
    • UDP: 데이터그램
  • 프로토콜:
    • TCP: 신뢰성,연결지향적
    • UDP: 비신뢰성,비연결성

5계층 - 세션 계층 ( Session Layer )

  • 응용 프로그램 간의 세션 설정, 관리 및 종료를 담당
  • 데이터 암호화 및 압축을 처리하여 데이터가 응용 프로그램 계층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 데이터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6계층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응용 계층에 데이터를 형식화하고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 암호화 및 압축화

7계층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 응용 프로그램이 서로 통신하고 네트워크 통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
  • 프로토콜: HTTP, FTP, SMTP, Telenet등

결론적으로 OSI 7계층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표준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각 계층은 데이터 전송의 특정 측면을 담당하며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장비는 계층에 따라 다르다.
OSI 7계층을 이해하는 것은 원활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TCP/IP 4계층  (0) 2022.09.07
[Network] DAS,NAS,SAN  (0) 2022.09.06
[Network] 서버 성능 테스트  (0) 2022.08.26
[Network] CORS  (0) 2022.08.25
[Network] VPC  (0)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