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가상화] 가상화란?

2juhyunju 2021. 11. 30. 09:27

1. 가상화 배경 및 역사

 

1) 가상화 정의

  • 하드웨어 기능을 추상화하여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와 같은 IT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

2) 가상화 역사

  • 1970년대 IBM 메인프레임의 하드웨어 파티셔닝
  •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하드웨어의 급성장
  • 리소스 사용율 저하(평군 20~30%)

3) 가상화 장점

  • 물리적 시스템 통합
  • 하드웨어 독립성
  • 리소스 효울성 증가
  • 비용 절감

4) 가상화 종류

  • 서버 가상화
  • 네트워크 가상화
  • 스토리지 가상화
  • 컨테이너 가상화

2. 서버 가상화

1) 하이퍼바이저

  • Host
  • Guest
    1. Type1
      • 베어 메탈(Bare-metal) 기반으로 하드웨어 위에서 바로 구동되며, 하이퍼바이저가 다수의 VM들을 관장하는 형태. ‘하이퍼바이저형’으로 불림
      • 가상머신에 설치된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는 하드웨어 위에서 하이퍼바이저 다음으로 바로 구동됨
      • Type2보다는 더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지만, 여러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세팅해야 하며 설치가 어려움
    2. Type2
      • 하드웨어 위에 호스트 운영체제(Host OS)가 있고, 그 위에서 하이퍼바이저가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유사한 형태로 동작
      •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머신의 게스트 OS는 하드웨어 위에서 호스트 OS, 하이퍼바이저 다음인 3번째 수준에서 구동됨
      • 기존의 컴퓨터 환경에서 하이퍼바이저를 활용하는 거라 설치가 용이하고 구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Type1 보다는 성능이 낮음

2) 전가상화(Full Virtualization)

  • 가상의 서버(가상머신)가 사용하는 모든 리소스를 하이퍼바이저가 가상으로 만들어 제공
  • 자신이 가상머신인지 모름
  •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가상화 기법

3) 반가상화(Para Virtualization)

  • 가상의 서버가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커널 소스를 수정하여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하드웨어에 접근
  • 리소스 일부분만 가상의 자원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