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EKS 구축
AWS EKS
AWS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다.
EKS를 사용하면 기업은 Kubernetes 클러스터를 쉽게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신뢰성, 확장성, 보안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클러스터 구성
EKS를 검색한 후 클러스터 추가 ->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클러스터 이름,버전,역할을 설정한다.
* 만약 IAM 안만들어져 있으면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https://docs.aws.amazon.com/eks/latest/userguide/service_IAM_role.html#create-service-role
Amazon EKS cluster IAM role - Amazon EKS
Prior to April 16, 2020, AmazonEKSServicePolicy was also required and the suggested name was eksServiceRole. With the AWSServiceRoleForAmazonEKS service-linked role, that policy is no longer required for clusters created on or after April 16, 2020.
docs.aws.amazon.com
네트워크 지정
클러스터의 VPC와 서브넷을 설정한다.
* VPC가 생성하는 방법은 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클러스터 내부 API 엔드포인트 접근 권한을 구성하는것이다.
외부에서도 접근이 가능하게 하려면 퍼블릭을 VPC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게 하려면 프라이빗을 선택 하면 된다.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설정 하면 된다.
로깅 구성
로깅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가 생성된 이후에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넘어간다.
추가 기능 선택
EKS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위 3개를 클릭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된다.
선택한 추가 기능 설정 구성
위에서 선택 했던 추가 기능들의 설정을할 수 있다. 버전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된다.
다음으로 넘어가게 되면 마지막으로 검토 및 생성이라는 항목을 볼 수 있다.
이 항목에서는 지금까지 구성하고 설정했던 항목들이 내가 제대로 선택 했는지 다시 한번 점검 해보는 항목이며 맞다면
생성 버튼을 눌러 클러스터를 생성해주면 된다.
* 클러스터 생성은 시간이 꽤 걸린다 ( 5분~2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