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연산자

2juhyunju ㅣ 2022. 5. 21. 00:08

연산자

  • 연산자는 여러 변수들간의 계산 및 비교를 위하여 사용된다.
  • 종류로는 산술연산자, 대입연산자, 논리연산자, 관계연산자 등이 있다.

산술 연산자

int num1 = 10;
int num2 = 5; 

System.out.println(num1 + num2); // 더하기 연산
System.out.println(num1 - num2); // 빼기 연산
System.out.println(num1 * num2); // 곱하기 연산
System.out.println(num1 / num2); // 나누기 연산
System.out.println(num1 % num2); // 나머지 연산

대입 연산자

int num1 = 10;
int num2 = 5;

num1 += num2; // num1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num1 -= num2; // num1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num1 *= num2; // num1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num1 /= num2; // num1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num1 %= num2; // num1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계산을 한 후, 다음 계산을 할 때 num1과 num2, 두 변수의 값은 이전의 계산에 의해 변해 있을 수 있다.
    만약 원래의 값인 10과 5를 사용하고 싶다면 값을 다시 초기화 해줘야한다.

관계 연산자

  • == 는 두 값이 같은지, != 는 두 값이 같지 않은지를 확인하는 연산자이다.
  • 관계 연산자는 결과값이 참이라면 true 를 결과값으로 반환, 만약 결과값이 거짓이라면 false 를 결과값으로 반환한다.
int num1 = 10;
int num2 = 20;
int num3 = 10;

System.out.println(num1 > num2); // 10 > 20
System.out.println(num1 >= num3); // 10 >= 10
System.out.println(num1 < num2); // 10 < 20
System.out.println(num1 <= num2); // 10 <= 20
System.out.println(num1 == num3); // 10 == 10
System.out.println(num1 != num2); // 10 != 20

논리 연산자

  • 논리 연사자도 또한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결과값으로 true 와 false 를 반환한다.
boolean a = true;
boolean b = false;

System.out.println(a && b);
// &&는 두가지 모두 참일 경우에는 true를,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false를 반환
System.out.println(a || b);
// ||는 두가지 모두 거짓일 경우에는 false를,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true를 반환
System.out.println(!b);
// !는 피연산자의 논리값을 바꿉니다. true는 false로 , false는 true로 반환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자료형  (0) 2022.05.19
[Java] 변수와 상수  (0) 2022.05.19